지금까지 Go언어를 배우면서 느낀점이 무엇입니까? 아마도 유도리가 좀 있는 언어라고 느꼈을 것입니다. 자료형과 연산자, 선언에서 일정 부분은 우리가 입력한 코드에 대해 알아서 처리해줬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조건문을 배우면 그런 생각이 바뀔 수 있습니다. 여태까지 배운 Go언어의 문법과 다르게 조건문은 몇 가지 엄격하다고 느낄 수 있는 특징이 있기 때문입니다. 생각해보면 Go라는 언어는 부드러워보여도 나름의 기준 안에서 원칙을 고수합니다. 이러한 점이 Go 개발자들이 지향했던 것이자, 길게 봤을 때 Go언어를 사용하는 개발자들(Gopher)에게 좋은 코딩 습관을 심어주고 코드 자체도 누구나 쉽게 알아볼 수 있게끔 해주는 장점인 것 같습니다.
저의 생각에는 프로그래밍의 꽃은 '조건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음료수 자판기를 생각해봅시다. '만약' 돈이 들어온다면 음료수를 선택할 수 있게끔 빨간 불이 뜹니다. 음료수를 선택했는데 '만약' 넣은 돈보다 비싼 음료를 선택하면 음료가 나오지 않습니다. '만약' 넣은 돈과 같거나 싼 음료를 선택하면 음료가 나옵니다. '만약' 잔돈이 있다면 잔돈을 반환합니다. 자판기같은 간단한 프로그램에도 다양한 조건에 의한 흐름 분기가 있습니다. 개발자 여러분들은 이러한 생각을 해본 적 있나요?
조건문의 중요함을 느꼈다면, 지금부터 Go언어의 조건문의 특징과 문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True/False
Go언어의 조건문의 조건식은 반드시 Boolean 형으로 표현돼야 합니다. Go언어에서 bool 형은 false와 true만 지원하는 것을 지난 강의에서 배웠습니다. C언어와 C++는 조건식에 1, 0과 같은 숫자를 쓸 수 있는 것과 대조적입니다.
조건식의 괄호는 생략 가능
대부분의 언어들은 조건문에서 조건식을 쓸 때 if 옆에 괄호를 입력했을 것입니다. 예를 들어, "if(k==0)" 이렇게 말입니다. 하지만 Go언어에서는 "if k==0"과 같이 괄호를 생략해서 입력해도 됩니다. Go에서는 생략해서 실행하는 것을 권장하고 Atom과 같은 에디터에서 패키지를 설치하고 실행한다면 괄호를 자동으로 생략해줍니다. 그리고 괄호를 쓴다고 해서 실행이 안 되지는 않습니다.
조건문의 중괄호는 필수
많은 개발자들이 조건문을 쓰면서 조건문이 한 줄일 때 조건 블럭을 표시하는 중괄호({})를 생략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물론 다른 언어에서는 가능하지만 Go언어에서는 반드시 중괄호를 입력해야합니다. 조건문을 작성할 때는 꼭 조건 블럭 안에 넣어야합니다.
괄호의 시작과 else문은 같은 줄에
어떻게 보면 제일 중요한 부분입니다. 개발자들이 if ~else if문을 작성할 때 정말 다양한 방법으로 조건문을 작성합니다. 쉽게 말하자면 if ~else if문은 키워드가 반복해서 이어지는 독특한 구문이기 때문에 개행하는 방법이 개발자마다 다를 수 있다는 뜻입니다. 하지만 아시다시피 어느정도는 개발자들 사이에서 통용되는 정석적인 코딩 방법이 있습니다. Go언어는 바로 그것을 따릅니다. 조건문이 시작하는 첫 번째 줄에(조건문이 아니더라도 함수같이 중괄호가 필요한 블록이 있다면) 블록 시작 브레이스({)를 입력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렇지 않다면 런타임 에러가 발생해 실행할 수 없습니다.
아래 코드는 잘못된 조건문 예시입니다. 에러가 발생해 실행 되지 않습니다.
위 코드는 원칙을 벗어나 누가 보더라도 보기 안 좋은 코드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아래 코드를 바로 실행해보세요.
조건식에 간단한 문장(Optional Statement) 실행 가능
Go언어에서는 조건식을 실행하기 전에 간단한 문장을 함께 실행할 수 있다. "if val := num*2 ; val==2" 와 같이 조건식 앞에 변수를 선언하고 식을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주의해야할 점은 조건식 전에 정의된 변수는 해당 조건문 블록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표현은 switch문, for문 등 여러 문법에서 사용할 수 있으니 알아둘 수 있도록 합니다.
아래 코드를 바로 실행해보세요.
Go언어의 조건문을 모두 배웠습니다. 아래 예제를 바로 실행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