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습 환경 구축 - 구름IDE
01 시작하기에 앞서
실습 환경 구축 - 구름IDE

본격적으로 Go 언어를 실습하기에 앞서 코드를 작성하고 쉽게 결과를 확인해볼 수 있는 실습 환경을 구축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프로그래밍을 하기 위한 프로그램은 상당히 많고 복잡한 기능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기능들은 사람이 작성한 코드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도록 변환합니다. 예전에는 기능별로 각각 다른 도구를 사용했지만, 오늘날 통합개발환경인 IDE(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가 등장하면서 모든 기능을 한 프로그램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IDE에서는 코드 작성 및 편집, 디버깅(논리적 오류인 버그를 검출 및 제거하는 과정)컴파일(작성한 코드를 기계어로 번역하는 작업) 등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C/C++은 Visual Studio, 자바는 Eclipse 등 프로그래밍 언어마다 사용되는 IDE 및 설치과정이 제각각 다르며, 언어를 하나만 다룰지라도 여러 가지 이유로 IDE를 여러 번 설치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것이 클라우드 IDE입니다.

클라우드 IDE는 프로그램 설치 과정 없이 컨테이너를 생성하는 것만으로 개발환경이 자동 구축되며, 집에서 작성하던 코드를 학교에서 이어 작성하는 등 어디서나 같은 환경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름IDE(https://ide.goorm.io/)는 협업을 위해 여러 사용자가 동시 접근할 수 있는 컨테이너를 제공하는 클라우드 IDE입니다.

잠금 영역
실행 언어: go
실행 결과를 확인해보세요!

'바로 실행해보면서 배우는 Go Lang'에서는 제목에 걸맞게 하나의 웹 페이지에서

  1. 작성된 코드를 바로 실행해서 결과를 볼 수 있는 창
  2. 각 챕터의 실습 문제를 바로 작성할 수 있는 페이지

와 함께 강의를 진행합니다. 구름IDE에 비해 좀 더 간소화된 실습환경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상단 코드를 실행하여 어떤 방식인지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구름IDE로 실습하기


강의를 통한 실습도 좋지만 실전 대비 연습도 중요합니다. 구름IDE에서 학습 내용을 복습해보는 건 어떨까요? 여러분의 효과적인 학습을 위해 구름IDE 사용법을 간략히 설명하겠습니다.

먼저 구름IDE에 접속하여 로그인한 뒤 상단에서 '대시보드'를 클릭합니다.

대시보드에서 '새 컨테이너 생성'을 클릭해봅시다.

이름을 작성하는 공간에 영어로 원하는 컨테이너 이름을 적고 소프트웨어 스택을 Go로 선택합니다. 필요한 옵션이 있다면 마저 설정한 뒤 오른쪽 상단의 컨테이너 생성 버튼을 클릭합니다.

컨테이너 구성이 완료되어 실행을 묻는 알림창이 뜨면 '컨테이너 실행'을 클릭해 컨테이너로 이동합니다.

프로젝트를 로딩하면 위와 같은 IDE 페이지를 볼 수 있습니다.

src 카테고리 안에 포함된 main.go 파일을 더블클릭하면 "Hello, goorm!"을 출력하는 코드가 작성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제 오른쪽 상단에서 실행 버튼(원 안에 ▶ 모양이 배치된 버튼)을 클릭해봅시다.

"Hello, goorm!"이 정상 출력되었습니다.

질문하기
추가 자료
no files uploaded

추가 자료가 없습니다

여기서 새로운 학습 자료를 확인하세요!
선생님이 추가한 자료들을 바로 확인할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