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름IDE를 이용하여 초고속으로 개인 웹 사이트 만들기
    • 01
      기본 환경 구축하기
    • 1강: 구름IDE 컨테이너 생성하기
    • 02
      nginx 설정하기
    • 2강: nginx 웹 서버 설치하기
      3강: nginx의 HTML 폴더 경로 변경하기
    • 03
      MDBootstrap으로 레이아웃 만들기
    • 4강: MDBootstrap 디자인 프레임워크 설치하기
      5강: 네비게이션 만들기
      6강: 메인 콘텐츠 만들기
      7강: 푸터 만들기
    2강: nginx 웹 서버 설치하기
    02 nginx 설정하기
    2강: nginx 웹 서버 설치하기

    지난 시간에는 클라우드 구름 IDE 서비스를 이용해 우리만의 컨테이너(Container)를 생성해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일단 개인 웹 사이트를 운영하기 위해서는 당연히 하나의 웹 서버(Web Server)를 구축한 뒤에 그 위에 웹 파일을 올리는 방식으로 개발을 진행해야 합니다.


    nginx 설치하기


    지난 시간에 생성해준 '빈 프로젝트'의 컨테이너를 실행한 뒤에 콘솔(Console) 창에서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 apt-get update: nginx 웹 서버 패키지를 설치하기 전에 일단 패키지를 최신 상태로 바꾸어줍니다.
    • apt-get install nginx: nginx를 우분투 서버 내에 설치합니다.
    • nginx -v: 설치된 nginx의 버전을 확인합니다.




    이제 웹 서버를 구동시켜봅시다.


    • service nginx start: nginx 웹 서버를 구동합니다.


    기본적으로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웹 서버는 기본적으로 80번 포트를 사용하도록 세계적으로 약속이 되어 있습니다. 다만 구름 IDE와 같이 우리에게 서버를 제공해주는 클라우드 서비스들은 한정된 숫자의 공인 IP만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전용 공인 IP를 사용할 수는 없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클라우드 서비스들은 내부적으로 NAT와 같은 기술을 사용해 사용할 수 있는 IP의 개수를 늘린답니다.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란 포트 번호와 내부 아이피를 매핑해서 공인 IP 한 개만 가지고도 내부 서버에서 여러 개의 서버가 운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default

    바로 '포트포워딩' 설정 버튼을 누른 뒤에 내부 포트로 80을 입력하고 '등록'을 진행하시면 됩니다. 아이피 13.124.195.10을 이용하는 웹 서버가 많다고 했을 때, 우리는 같은 아이피를 사용하는 서버 중에서 '50696' 포트를 할당 받은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default

    이제 구동된 웹 서버를 확인해봅시다. 웹 브라우저를 실행해서 13.124.195.10:50696와 같이 자신의 'IP번호:포트번호'를 입력하면 구동된 nginx 웹 서버에 접속할 수 있습니다. 이후에 자신의 친구한테 한 번 접속을 해보라고 해도, 잘 접속이 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정상적으로 작동이 되는 것을 확인했다면 nginx 웹 서버를 구동 중지해봅시다.


    • service nginx stop: nginx 서버를 중지시킵니다.


    이제 기본적으로 설치된 nginx 서버가 존재하는 위치를 찾아봅시다. 운영체제마다 조금씩 다른데, 구름IDE가 제공해주는 우분투 리눅스 서버에서는 /usr/share/nginx/html 에서 그 경로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default

    들어가 보면 50x.html과 index.html가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50x.html 페이지를 브라우저에서 접속할 수 있습니다. 확인을 해보시면 50x.html은 오류 페이지이고, index.html는 아까 우리가 봤던 기본 페이지인 걸 알 수 있습니다. 이로써 웹 서버에서 index.html 페이지는 기본이 되는 페이지로 존재한다는 것까지 쉽게 이해하실 수 있습니다.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