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메인 이름을 서버 컴퓨터에 붙이고 싶은 분
- 도메인 네임 시스템이 동작하는 방법이 궁금한 분
- nslookup 명령의 자세한 이용법이 궁금한 분
- github page, tistory와 같은 서비스에 도메인을 붙이는 방법이 궁금한
📝수업 소개
🖥️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 한 대 한 대를 호스트(host)라고 합니다.
호스트와 호스트가 서로 통신하기 위해서는 IP주소가 필요합니다.
IP주소는 우리가 다른 컴퓨터에 접속이 가능하도록 도와주지만,
일일이 IP주소를 기억하는 것은 너무 어려운 일입니다.
↔️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존 포스텔과 폴 모카페트리스는 DNS(Domain Name System)를 만들었습니다.
DNS 서버에는 수 많은 IP주소의 도메인 이름(Domain Name)이 저장되어 있으며,
DNS는 IP주소를 우리가 쉽게 기억할 수 있는 도메인 이름으로 변환해주며, 반대로도 변환해줍니다.
🧑🏫이 수업은 도메인 이름을 자신의 서버 컴퓨터에 부여하는 방법을 다루고 있습니다.
🎯학습 목표
- 네트워크 환경에서 일어날 수 있는 보안 사고의 사례를 알 수 있습니다.
- DNS의 등장 배경과 동작 원리에 대해서 알 수 있습니다.
- Local DNS, Public DNS에 대해서 알 수 있습니다.
- 도메인 이름의 구조, 등록 과정에 대해서 알 수 있습니다.
- 도메인 이름에 대한 정보를 조회하는 도구인 nslookup 사용법을 알 수 있습니다.
- 나만의 도메인 이름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 DNS Record 타입, CNAME Record 타입에 대해서 알 수 있습니다.
📣참고사항
✍ 강의자 소개
생활코딩(이고잉)
- 약 10만 멤버로 구성된 개발 커뮤니티 생활코딩 운영
- 일반인들에게 프로그래밍을 알려주는 무료 온라인, 오프라인 수업을 제공